You are a winner!

[리더십 평가] 마이클 브린 前 외신기자클럽 회장이 본 박정희대통령(ENG Michael Breen’s Review about Park Jung Hee Leadership) 본문

인물,성공스토리

[리더십 평가] 마이클 브린 前 외신기자클럽 회장이 본 박정희대통령(ENG Michael Breen’s Review about Park Jung Hee Leadership)

세이지리더십 2020. 7. 15. 18:13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류가 이룩한 성과 가운데 가장 놀라운 기적은 바로 박정희의 위대한 지도력으로 경제발전을 이룩한 대한민국이다.”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업적평가는 여전히 정치적 이념에 따라 의견이 나뉘고 있습니다


조국 근대화, 산업화의 경제 사령관이었는가 아니면 장기집권의 독재자였는가?

사람들은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그에 대한 공과를 다르게 평가하겠지요.

오늘은 영국 기자 마이클 브린의 저서 “한국 한국인”에 실린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그의 논평글을 소개하겠습니다.


박정희는?

박정희는 ‘동학’ 반란에 가담했다가 자수해서 사면을 받은 빈농의 아들로 태어납니다.

자식이 너무 많아 힘들었던 박정희 어머니는 태아를 중독시키기 위해서 간장을 마시고, 배에 천을 둘러매고,

심지어 담벼락에서 뛰어내리기까지 했지만, 박정희는 살아남습니다.

학교에 들어가서는 공부를 잘 했고,이 후 일본 육사에 입학하여 1944년 졸업과 함께 소위로 임관되어 만주국에 배치됩니다.

일제강점기의 경험은 앞으로 박정희 통치방식의 모태가 되었죠.

박정희와 동료 장군들은 집단과 국가의 이익을 개인이나 가족의 이익 앞에 두는 일본식 정신자세에 물들어 있었습니다.

미국의 저술가 마크 클리포드(Mark Clifford)는 한국의 발전 과정에서 그들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문정인과 전병준 같은 학자는 일제 강점기의 경험이 박정희 리더십에 영향을 준 세가지 요소를 지적했습니다.


첫번째는 일본의 근대화를 이끈 메이지유신을 흠모한 ‘부국강병’, ‘생산, 수출건설’에 헌신,

두번째 일본에 대한 모방으로 한국을 부패와 무능한 민간인들로부터 구해내는 것,

세번째 2차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경제개발에 대한 학습과 벤치마킹이었습니다.


박정희는 친일반역자?

오늘날 박정희의 과거를 내세우며 친일부역자로 낙인 찍는 사람이 있습니다.

2009년 한 민간단체가 발표한 친일부역자 명단에서 가장 눈에 띄는 사람이 박정희였지요.

일본의 군 및 경찰 출신의 한국인들은 그들이 실제로 한 일보다는 계급을 기준으로 명단에 포함되었어요.


23세 초등학교 교사 박정희는 군에 지원하면서 충성을 서약하는 혈서를 썼다는 만주국의 일본어 신문기사까지 소개되었지요.

이는 천황에 대한 충성의 명백한 증거로 보일 수 있었습니다.

2차세계대전이 끝난 후에 박정희는 일본보다는 남한의 좌익과의 관계 때문에 더 많은 시련을 겪게 되죠.

1946년 공산주의자들이 주도한 대구 폭동에서 형이 사망한 후 그는 남조선 노동당에 입당했어요.


그는 좌익이 더 잘 조직화되었고 애국적이며, 우익보다 덜 부패하다고 여겼으니까요.

1948년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았다가 감형 받은 박정희는 수사관들에게 협조함으로써 결국 사면을 받습니다. 

이러한 과거를 잘 알고 있었던 케네디 행정부는 박정희가 쿠데타를 일으켰을 때 그가 여전히 공산주의자가 아닌가 우려했죠.


작가 조갑제는 박정희는 매우 독립심이 강하고 현실적인 인물이었다면서 힘이 있는 만큼 멀리 갈 수 있다는 것이 그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종속의 굴욕을 견뎌내고 한국의 힘을 기르기를 원했다고 말이죠. 달리 말하자면 김일성보다 섬세한 방식의 ‘주체’지요. 

박정희는 친일, 공산주의적 사상을 가졌다기 보다 한국의 국력을 증진시키고자 했습니다.



박정희의 관리 방식?

박정희는 권력을 장악한 지 수일 또는 수주 안에 정당과 사회단체를 해산하고,

공무원 3만5천명을 해고했으며, 4천명의 불량배와 2천명의 용공분자를 체포합니다.


박정희는 기업 집단인 ‘재벌’의 회장들을 탐욕스럽고 부패한 사람들로 간주했죠.

여러 기업인들이 부당이익을 반환하고 재산을 정부에 헌납하라는 압력을 받은 후에 새뮤얼 버거(Samuel Berger) 미국 대사는 박정희에게 ‘재벌’의 필요성을 조언하고 ‘재벌’회장들에게는 독점체제를 고수하려다가는 기업이 국유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양측 모두 미국 대사의 조언을 받아들였고, 운이 좋지 못했던 은행들은 국유화되었습니다.

경제 사령관 박정희는 일본 군대에서 배우고 한국전쟁 중 장군의 지위에서 활용했던 프러시아식 관리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목표를 설정한 후, 부하들에게 목표 달성을 위한 폭넓은 행동의 재량권을 부여하고, 목표를 달성한 사람은 승진시키고 실패한 사람은 잘라 버리는 방식입니다.

초기에 박정희는 군 장교들을 정부의 장관으로 임명했습니다. 그들은 군복을 입고 근무를 했죠.


처음 3년 동안에는 경제기획부와 상공부 장관이 평균 6개월을 버티지 못하는 회전문 인사가 계속되었고 그 후에 박정희는 테크노크라트를 발탁하기 시작했습니다 .


박정희의 경제개발계획

경제개발계획 초기에는 신발, 의류, 가발같이 주로 중소기업에서 비숙련 여성 근로자들이 생산하는 경공업 제품 중심이었습니다.

박정희는 당시 18억 달러이던 수출을 1백억 달러로 늘리기로 합니다.

기계류, 전자제품, 조선, 자동차와 함께 제철, 철강, 석유화학산업의 중공업 발전이 이루어졌습니다.

정유는 국가가 관장했고, 나머지 분야는 13개 주요 ‘재벌’에 할당했죠.

제조업자들이 수입을 위하여 달러를 쓸 필요가 없도록 원자재를 국내에서 생산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박정희는 대중연설을 할 때 확실한 메시지 전달을 위해서 통계자료를 활용했습니다.



1964~1970년과 1973~1980년 기간에 그는 10억 달러와 1백억달러라는 총체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해서는 연간 40%의 수출성장율을 달성해야 한다고 설명했어요.


이는 모든 국민이 쌀밥을 먹을 수 있고, 북한으로부터 나라를 방어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합니다.

 “불가능은 없다.” “우리는 할 수 있다.”라고 말하면서요.

수출은 최우선사항이며, 애국적인 임무가 되었고, “수출은 좋고 수입은 나쁘다”가 성장의 주문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관료들은 기업에 수출목표를 제시하고 목표를 달성한 기업은 금융 특혜, 세금 혜택을 받고, 실패한 기업은 곤경을 겪게 되고 심지어 다른 기업에 강제로 인수되기도 했습니다.


박정희의 경제개발 전략에서 중요한 요소는 옛 식민통치 시절의 적과의 관계를 정상화하는 것이었습니다.  일본과의 관계 정상화를 통해서 5억 달러의 차관과 3억 달러의 식민통치 보상금이라는 요긴한 자금을 확보한 박정희는 이를 피해자들에 대한 직접 보상에 쓰지 않고 경제개발 프로젝트에 투입합니다.


식민통치의 기억이 생생했던 많은 한국인들은 일본과의 외교관계 수립을 반대했죠.


학생들의 격렬한 시위로 정부가 거의 붕괴될 것 같은 상황이 조성됩니다.


이러한 경험은 박정희에게 국가의 건설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자신의 집권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도 경제성장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심어주는 계기가 됩니다.

박정희는 서울과 인천 부산을 연결하는 현대적 고속도로 건설을 원했지요. 세계은행은 반대 의견을 제시했고, 박정희가 나라를 파산시킬 것이라고 국회도  승인을 거부했죠.


박정희는 그들을 무시했습니다.

건설공사가 시작되고 몇 달 후에 시멘트가 떨어졌을 때 그는 “상관없어” “무슨 수를 쓰든 완공해.”라고 말했습니다. 3년 안에 자동차의 80%가 이 고속도로를 이용하고 고속도로 주변지역이 국민총생산의 거의 70%를 담당하게 됩니다. 마이클 브린은 이를 성경에 나오는 떡과 물고기의 작은 기적 이외에 시멘트도 어딘가에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마디로 기적이라는 거죠.


1970년에 시멘트 생산량이 수요를 초과하면서 박정희는 모든 마을에 시멘트 335포대를 무상으로 공급하고 잘 활용되었다고 평가된 마을은 시멘트 5백 포대와 철근 1톤을 제공했습니다.


박정희는 정부가 마을 주민에게 강요한 프로젝트는 실패하기 마련이다.’등등 지혜를 담은 11개항의 메모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새마을운동은 도시로까지 확산되었습니다.

아시아에서 버마와 필리핀을 장래성있는 국가로 여기던 시절, 세계인들은 암울한 전망과 더불어 한국의 경제계획을 높이 평가하지 않았습니다.

1967년 말 1인당 국내 총생산은 150달러, 1970년 250달러, 1977년 1천달러에 이르렀습니다.


낙후된 농업국가에서 현대적 산업국가로 탈바꿈하여 박정희가 집권한 지 10년만에 한국은 번영의 길로 들어서게 됩니다.



박정희의 정경유착?

오늘날 ‘재벌은 ‘자이바추(zaibatsu)’라 불린 가족 소유의 대기업이 일본 경제를 주도했던 식민통치 시절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두산은 예외로 일찍 창업했구요.


2차세계대전 후에는 한국에서 사업을 벌이던 일본 기업에서 몰수한 재산을 한국 기업들에게 이례적으로 유리한 조건으로 매각함에 따라 더 많은 재벌이 생겨나게 됩니다.

한국 기업들에게 이례적으로 유리한 조건으로 매각함에 따라 더 많은 재벌이 생겨나게 됩니다.

대우같이 1960년대 창업한 재벌도 있지만요. 

처음에 박정희는 특정한 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했지만 이는 거의 모두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그 후에 그는 창조적이고 열정적인 기업가가 성공할 수 있는 보편적인 환경을 조성했지요.

박정희가 기업에 로켓을 달아주기는 했지만 도화선에 불을 붙인 것은 기업 총수의 몫이었습니다.


박정희는 국제무대에서 일본과 경쟁할 수 있는 기업을 원했죠.

그는 한국인이 전통적으로 게으르며 기업가와 정치인들이 부패했기 때문에 다수의 중, 소규모 기업인보다는 소수의 충성스럽고 능력 있는 기업인을 육성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했죠. 여기에는 위험 요소 적이 있었어요


크고 강력한 그룹은 야심찬 거물이 박정희의 권위에 도전하는 권력기반이 될 수도 있었으니까요.

바로 이런 두려움 때문에 장개석은 타이완에서 대기업의 육성을 주저했습니다.

컨대 주주의 이익을 늘리는 모델에 따라 운영되는 미국의 기업과 달리 한국의 기업은 당초에 국가 건설을 위해서 존재했습니다.

더욱이 사회복지 시스템이 미흡했던 시절에 대기업들은 노동시장으로 진출하는 인력을 대규모로 흡수하는 비공식적 임무에 졸업생을 고용하는 할당량도 주어졌죠.

따라서 한국은 표면적으로는 자본주의 국가였지만, 현실적으로 강력한 중앙정부의 통제력에 의한 사회주의 국가였습니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가장 성공적인 중앙계획경제의 본보기라 할 수 있죠.


박정희의 독재

박정희는 민주적인 목표를 천명했습니다.

다행히 전쟁 전에 그가 공산주의를 선호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말한 목표는 자유세계가 이해할 수 있는 민주주의였죠.

그러나 박정희는 이와 같은 목표를 당분간 유보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한국이 “상투와 망건의 시대”에 머물러 있다며 하룻밤 새에 서구 유럽식 민주주의를 도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죠.

박정희는 민주주의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우선 산업의 혁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행정민주주의’를 대안으로 제시했죠.


 “혁명의 목표는 부패를 일소하고, 국민의 자립역량을 강화하며, 사회정의를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과도기 동안에는 정치적이 아니라 행정적인 수단에 의해서 민주주의가 확립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당시에 그가 말한 과도기는 1961년의 쿠데타로부터 1963년에 치러질 대통령 선거까지의 기간이었습니다.

물론 박정희는 이 선거를 시작으로 헌법을 개정하고 필요하면 선거 결과를 조작하면서 이어지는 선거에 계속 출마했고 그 과도기는 그가 암살될 때까지 지속되었습니다.


그는 1971년까지 두 번의 임기 동안에는 국민의 존경을 받았고, 헌법에 정해진 대로 퇴임했다면 그는 민주주의를 뒷받침하는 산업의 혁명을 추진하고 평화적 정권 이양의 선례를 남김으로써 한국의 민주주의에 기여했을 겁니다.

1960년대 말 북한의 특수부대가 청와대 인근지역까지 내려와 암살을 시도하고 1970년 닉슨 미국 대통령이 주한미군 병력을 1/3로 감축하기로 결정하는 등 여러가지 사건이 겹치면서 자신의 독재기간을 연장하게 됩니다. 그의 통치방식도 억압적인 방식으로 퇴보합니다. 박정희는 사회의 경제적 기초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독재를 선택했습니다.


그가 중산층을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한 것은 사실이지만 민주주의의 관점에서 볼 때 정치발전을 가로막은 인물입니다.


이상은 마이클 브린 주한 외신 영국기자가 바라본 박정희 대통령의 모습이었습니다.


마이클 브린은 다시는 침몰하지 않을 국가의 건설 쪽으로 돌린 사람이 바로 박정희 대통령이었고, 한국인들을 격려하고, 윽박지르고, 때리고, 회유하고, 부추겨서 논두렁에서 산업 세계의 최전방으로 몰아갔다고 서술했습니다.


미래학자 엘빈 토플러가 한 말입니다.

“민주화란 산업화가 끝나야만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자유화란 그 나라의 수준에 맞게 제한된다. 이를 독재라고 매도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The most surprising miracle among mankind's achievements since World War II is Korea, which achieved economic development with Park's great leadership.”
Peter Peter Drucker said.

Achievement evaluation of President Park Chung-hee is still divided according to political ideology.

Was he an economic commander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his country, or a dictator of long-term power?
People will evaluat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beliefs and values.

Today, I would like to introduce his commentary on President Park Chung-hee in the book “Korean Koreans” by British journalist Michael Brin.

Who is Park Jeong-hee?
Park Chung-hee was born as the son of poor farmer, who was pardon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Donghak' revolt.

Park Chung-hee's mother, who had a hard time because she had too many children, drank soy sauce, wrapped cloth in her stomach to poison the fetus,
She even jumped off the wall, but Park Chung-hee survived.

He went to school and studied well. After that, he entered the Japanese Academy of Education and graduated in 1944, and placed and  commissioned as a second lieutenant in Manchuria.
The experience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became the foundation of Park Chung-hee's governance.



Park Chung-hee and his fellow generals were imbued with the Japanese spirit of putting the interests of the group and the nation before the interests of the individual or family.


American writer Mark Clifford says their importance in Korea's development process cannot be overstated.
Scholars such as Moon Jung-in and Jeon Byung-jun pointed out three factors that influenced Park Chung-hee's leadership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first is devoted to 'Wealth country and strong army', 'production and export construction', which admired the Meiji Restoration that led to the modernization of Japan.
Second, saving Korea from corruption and incompetent civilians as an imitation of Japan,
Third, it was the learning and bench marking of Japan's economic development after the Second World War.

Is Park Chung-hee a pro-Japanese betrayer?
Today, there is a person who branded Park's past as a pro-Japanese worker.
The most prominent person on the list of pro-Japanese workers released by a private organization in 2009 was Park Chung-hee.
Koreans from Japanese military and police were included on the list by class and position rather than what they actually did.
Park Chung-hee, a 23-year-old elementary school teacher, was introduced to a Japanese newspaper article from Manchuria that said he wrote a vow to pledge loyalty while applying to the military.
This could be seen as clear evidence of allegiance to the emperor.




After World War II, Park Chung-hee faces more trials because of her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s left wing than Japan.
In 1946, after his brother died in the Daegu riots led by the Communists, he joined the South Korean Workers' Party.
He thought the left wing was better organized, patriotic, and less corrupt than the right.

Park Chung-hee, who was arrested and sentenced to death in 1948, was eventually pardoned by cooperating with the investigators.
The Kennedy administration, who knew his past well, was concerned that Park was still a communist when he had a coup.
The author Cho Gap-je said Park Chung-hee was a very independent and realistic person, and that his basic thinking was that he could go as far as he could have power.
He wanted to endure the humiliation of subjugation and cultivate the national power of Korea.
In other words, it is a 'subject' that is more delicate than Kim Il-sung.
Park Chung-hee wanted to improve Korea's national power rather than pro-Japanese and communist ideas.


Park's management method?
Park disbanded political parties and social groups within days or weeks of taking power,
He fired 35,000 civil servants and arrested 4,000 rogues and 2,000 pro-communist.
Park considered the chairmen of the corporate group 'chaebol' as greedy and corrupt people.
After several entrepreneurs were pressured to return unfair profits and dedicate their property to the government,

Ambassador Samuel Berger advised Park about the need for 'chaebol' and warned 'chaebol' presidents that a company trying to stick to the monopoly could be nationalized.

Both sides accepted the advice of the Ambassador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unlucky banks were nationalized.
Park, the commander of the economy, adopted the Prussian management method that he learned from the Japanese army and used in the position of general during the Korean War.
After setting goals, he gives his subordinates the discretion of broad action to achieve them, and those who achieve them are promoted and those who fail are cut off.

Initially, Park appointed military officers as ministers of the government.
They wore military uniforms.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the revolving door of the Ministry of Economy and Trade and the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lasted an average of six months, and Park  began picking up Technocrat after that.
 

Park's Economic Development Plan
In the early days of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 mainly  women workers, such as shoes, clothing, and wigs, were focusing on light industrial products.
Park plans to increase exports from $ 1.8 billion to $ 10 billion at the time.
Heavy industry development in the steel, and petrochemical industries has been achieved along with machinery, electronics, shipbuilding, and automobiles.
Refinery was administered by the nation, and the rest was allocated to 13 major chaebols.


The goal was to produce raw materials domestically so that manufacturers do not have to spend dollars for imports.
Park used statistical data to deliver a clear message when giving a public speech.
During the period 1964-1970 and 1973-1980, he set overall goals of $ 1 billion and $ 10 billion, explaining that this would require 40% annual export growth.
This means that all citizens can eat rice and defend the country from North Korea.
 “There is no impossible.” Saying, "We can do it."
Export was a top priority, became a patriotic mission, and “good exports and bad imports” became orders for growth.
So bureaucrats set export targets to companies, and companies that achieve their goals receive financial and tax benefits, and those that fail are in trouble and even take over by others.

An important factor in Park's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was to normalize relations with enemies during the colonial rule.

Through normalization of relations with Japan, Park , who secured the essential funds of 500 million dollars of loans and 300 million dollars of colonial rule compensation,
This is not used for direct compensation for victims, but for economic development projects.

Many Koreans whose memories of colonial rule were vivid were opposed to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Students' violent protests create a situation in which the government will almost collapse.
This experience gives Park an opportunity to instill the idea that economic growth is needed not onl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untry, but also to justify his power.
Park wanted to build a modern highway connecting Seoul and Incheon, Busan.
The World Bank expressed opposition, and the National Assembly refused to approve that Park would bankrupt the country.

Park Jung-hee ignored them.
When the cement ran out a few months after the construction started, he said, "It doesn't matter."
Within three years, 80% of cars used this highway, and the area around the highway was responsible for almost 70% of the gross national product.
In addition to the small miracles of rice cakes and fish in the Bible, Michael Brin said cement was somewhere else.

In a word, it is a miracle.
As cement production exceeded demand in 1970, Park supplied 335 bags of cement to all villages free of charge, and the villages that were evaluated as being used well provided 500 bags of cement and 1 ton of rebar.

Park also wrote a memo of 11 paragraphs containing wisdom such as 'the project that the government forced the villagers to fail.'

The Saemaul Movement spread to cities.

When Burma and the Philippines were considered promising countries in Asia, the world's people did not appreciate Korea's economic plan with a gloomy prospect.
At the end of 1967, gross domestic product per capita reached $ 150$, 250 in 1970, and $ 1,000 in 1977.

After transforming from an old agricultural country to a modern industrial country, Korea could enter a path of prosperity ten years after Park  took power.
Park's collusive links between politicians and businessmen?
Today, the chaebol are rooted in the colonial rule of Japan, when a large family-owned company called `` zaibatsu '' led the Japanese economy.
Doosan started as an exception.

After World War II, more conglomerates are created as Japanese companies that were doing business in Korea sell their forfeited property under conditions that are unusually favorable to Korean companies.

More chaebols are created as they are sold under exceptionally favorable conditions for Korean companies.
There are also chaebols founded in the 1960s like Daewoo.

At first, Park actively supported a specific company, but almost all of them failed.
After that, he created a universal environment in which creative and passionate entrepreneurs could succeed.
Park loaded the company a rocket, but it was up to the company to light the fuse.
Park wanted a company that could compete with Japan on the international stage.
He said that Koreans are traditionally lazy and corrupt by entrepreneurs and politicians.
He though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cultivate a handful of loyal and competent businessmen.
There was a risk factor here.
A large and powerful group could have been an ambitious tycoon that could be the power base to challenge Park's authority.
Because of this fear, Chiang Kai-Shek was reluctant to foster large companies in Taiwan.

Unlike American companies, which operate under a model that increases shareholder interests, Korean companies originally existed to build the country.

Moreover, in the days when the social welfare system was inadequate, large companies were also given quotas to hire graduates on an informal mission to absorb large numbers of people entering the labor market.
So Korea was, on the surface, a capitalist state, but in reality it was a socialist state under strong central government control.
Korea is an example of the most successful central planning economy in the world.

Park's dictatorship
Park declared a democratic goal.
Fortunately, despite his preference for communism before the war, his goal was democracy that the free world could understand.
However, Park insisted that such a goal be reserved for the time being.
He felt that it was impossible to introduce Western-style democracy overnight, saying that Korea was staying in the “era of Koreana topknot and a cape ”.

Park said that democracy needs an industrial revolution to work.
He suggested 'administrative democracy' as an alternative.
 “The aim of the revolution is to eradicate corruption, strengthen the self-reliance of the people, and realize social justice,


Therefor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democracy must be established by administrative means, not political. ”
The transition period he spoke at the time was the period from the coup in 1961 to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1963.
Of course, Park continued to run for the election, starting with this election, revising the Constitution and, if necessary, manipulating the results of the election, and the transition continued until he was assassinated.

He was respected by the people for two terms until 1971.
If he had retired as set out in the Constitution, he would have contributed to Korea's democracy by pursuing an industrial revolution that supports democracy and setting a precedent for the transfer of a peaceful regime.
In the late 1960s, a special unit from North Korea came down to the Blue House and tried to assassinate him.

In 1970, US President Nixon decided to cut US troops in Korea by a third, extending the length of his dictatorship by overlapping events.
His way of governing also degenerates in oppressive ways.

Park chose dictatorship to change the economic foundations of society.
It is true that he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formation of the middle class, but from a democratic point of view, he is a person who has prevented political development.
This is what President Park Chung-hee of the British journalist Michael Brin looked at.
Michael Brin waid that  President Park who turned to the construction of a country that would never sink again.
It is said that Koreans were encouraged, struck, beaten, contemplated, and encouraged to drive from the paddy fields to the forefront of the industrial world.


This is what futurist Elvin Toffler said.
 “Democratization is only possible after industrialization is over. Liberalization is limited to the level of the country. Selling this as dictatorship doesn't make any sense.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