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최혜림 TV
- 아카데미작품상
- 대종상 감독상
- 기생충 상징
- 기생충 아카데미
- History's Greatest Leader?
- #최혜림
- #영화비교
- COVID19
- 기생충 의미해석
- COVID-19
- greatest leaders in history
- greatest leaders
- 기생충 완전해석
- parasite review
- 봉준호감독
- 최헤림tv
- 기생충 해석
- 기생충 비하인드
- churchill roosevelt
- 기생충
- 최혜림tv
- parasite hiding
- 코로나바이러스
- 기생충 의미
- 기생충 완전분석
- parasite highlights
- 기생충 분석
- 신종코로나바이러스
- parasite analysis
- Today
- Total
You are a winner!
[자립Independence]새끼 거북이에게 배우는 인생 교훈 ‘홀로 서기’(ENG Baby Sea Tutle’s Lesson) 본문
[자립Independence]새끼 거북이에게 배우는 인생 교훈 ‘홀로 서기’(ENG Baby Sea Tutle’s Lesson)
세이지리더십 2020. 7. 7. 17:47요즘처럼 풍요로움 속의 결핍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끊임없는 ‘자기 위안’이죠.
‘나’는 잘 하고 있는데 세상이 ‘나’의 가치를 알아 봐주지 못한다고, 나도 그런 부모를 만났더라면 더 크게 될 자격이 있는데 라고 환경 탓을 하게 되죠.
오늘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남 탓하지 않고 홀로서기를 하는 새끼 거북이의 자립정신을 배워보려 합니다.
어미 거북이는 자신의 몸이 충분히 들어갈 수 있도록 모래를 파고 30센티미터 깊이의 구덩이를 만듭니다.
너무 깊으면 새끼들이 못 빠져나오고 너무 얕으면 너구리나 까마귀 등 포식자들에게 수난을 당하기 때문이죠.
어미 거북이는 대략 50~200개의 알을 낳은 후에는 곧바로 모래를 덮어 알을 보호합니다.
그리고나서 어미 거북이는 다시 바다로 미련없이 떠나간답니다.
동물의 생태계를 살펴보면, 인간은 참으로 오랫동안 부모의 보호와 지원을 받는 유일한 유기체인 것 같습니다.
2개월 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모래 속의 알들이 드디어 깨어 나오기 시작합니다.
어미 거북이가 알을 품어주지 않아도 스스로 알을 깨고 나오는 어린 거북이들에게는 생존을 위한 ‘카벙클(carbuncle)’이라는 임시 치아가 존재한다고 하는군요.
이를 에그 투스(egg tooth)라고도 합니다.
새끼 거북이들은 카벙클로 알의 내벽을 깨어 홀로 세상을 맞이합니다.
알의 내벽을 깨지 못하면 그 안에서 죽음을 맞이하니, 갓 태어나자 마자 생존의 사투를 벌이는 셈이죠.
방해세력이 없다면 약 90%의 새끼 거북이가 성공적으로 부화되어 나온다고 하니 그 강인함이 정말 놀랍습니다.
단단한 알을 깨느라 카벙클이 온통 피투성이로 부서져 있어도 그들에게는 다음 미션이 놓여 있죠.
알을 깨고 나와서도 30센티미터 두께의 모래를 뚫고 나오는데 3일에서 7일이 걸린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들을 노리는 바다 갈매기와 독수리와 같은 포식자들을 피해 한밤중에 바다를 향해 돌진해요.
부화해서는 거의 본능적으로 별빛을 보고 바다로 향합니다.
새끼들은 태어나자마자 진정한 데스 레이싱을 시작해요.
알에서 깨어난 새끼들 중 절반 이상은 바다로 가는 와중에 바다새 등의 먹잇감이 되어 버립니다.
바닷물에 들어간 후 약 24 ~ 48 시간 동안 연속 수영의 "수영 열풍"이 시작되요.
이 광란적인 활동은 어린 거북이가 더 깊은 물로 내려가 포식자의 먹잇감이 되지 않으려는 몸부림이죠.
이렇게 바다거북이는 1년을 홀로 힘겹게 스스로의 힘으로 홀로서기를 해서 어른이 되요,
우리 인간이 돌잔치를 할 때 거북이는 이미 자립의 이치를 터득한 셈이죠.
인간으로 비유하면 홀로 탯줄을 끊고 나와 더 큰 세상으로 이사가는 격입니다.
철학자 데모크리토스는 말합니다.
“사람들은 행복과 불행에 대해 인간의 본성이나 운명 탓을 한다. 하지만 그것은 자신의 실수와 약함의 메아리일 뿐이다.”
우리는 너무 일찍 ‘나는 안 되’ ‘세상은 너무 공정하지 않아’라고 불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똑같은 환경 속에서도 누군가는 바다를 향해 끊임없이 도전하여 나아가죠.
“너희들이 아무리 부화해도 바다에 나가는 도중 잡혀 먹을꺼야”라고 말하는 부정적인 사람들이 주변에 있기 마련입니다.
우리도 새끼 거북이처럼 홀로서기를 위한 나만의 ‘카벙클’이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자, 오늘의 메시지입니다.
심리학자사 『12가지 인생의 법칙』에서 한 말이죠.
“세상을 탓하기 전에 방부터 정리하라”
There is a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people living in the age of deficiency in abundance these days.
It is a constant 'self-comfort'.
” 'I' am doing well and the world doesn't recognize the value of 'me', if I met my parents, I would be more successful blaming the environment.
Today, we will learn about the spirit of independence of baby turtles who are standing alone in harsh environments.
The mother turtle digs sand and makes a 30-centimeter-deep pit so that her body can fit in.
If it's too deep, baby turtles can't escape, and if it's too shallow, they 'll suffer from predators like raccoons and crows.
Mother t lays about 50 to 200 eggs and then lays sand to protect the eggs.
Then the mother tortoise leaves without sea again.
Looking at the ecosystem of animals, humans are indeed the only organisms that have long been protected and supported by their parents.
After two months, the eggs in the sand finally begin to wake up.
Even if the mother turtle doesn't feed the eggs, the baby turtles that break their eggs have a temporary tooth called 'carbuncle' for survival.
This is also called egg tooth.
The baby turtles break the egg's inner wall with ‘carbuncle’ and greet the world alone.
If they don't break the egg's inner wall, they die in it, and they're struggling to survive as soon as they are born.
It's amazing to see that about 90% of baby turtles hatch successfully without disturbing forces.
Even if the carbuncle is broken all over the hard eggs, they have the next mission.
Even after breaking eggs, it takes three to seven days to break through 30 cm thick sand.
And they rush towards the sea at midnight to escape predators like sea gulls and eagles that are aiming for them.
When they hatch, they almost instinctively look at the stars and head to the sea.
The baby turtles start real death racing as soon as they are born.
More than half of the babies waking up from the eggs become food for seabirds on their way to the sea.
After entering the seawater, the "swimming frenzy" of continuous swimming begins for about 24 to 48 hours.
This frenzied activity is a struggle for young turtles to go deeper into the predator's prey.
Like this, the baby sea turtles have been alone for one year and become adults by themselves.
It is like moving to a bigger world by cutting off the umbilical cord alone.
Philosopher Democritus says.
“People blame human nature or destiny for happiness and misery. But it's just an echo of one's mistakes and weaknesses. ”
We tend to complain too early, 'I can not', 'The world is not fair'.
But even in that same environment, someone constantly challenges the sea.
There are some negative people around who say, “No matter how much you hatch, you will be caught on the way out to sea.”
We may need our own “carbuncle” for independence like a baby turtle.
Well, it is today's message.
Psychologist Jordan Peterson said in “12 Rules of Life”.
"Clean up the room before blaming the world."